뇌파장비(시리얼통신)+스마트쉘터 미니어처 모델 구동.

..

아두이노를 통해 시리얼 통신으로 값을 입력받아 구동하는 스마트쉘터 전동모형을 만들었다. 단순하게 생각하면 ‘푸르사 타입의3d프린터’의 y을 갖고 왔다 보면 되는데 , 이를 구동하기 위한 입력시리얼은 0~100%를 기준으로 정제된 데이터를 받을때 작동되게 해두 었으며.

순서로는 1. 초기 리미트를 위한 전후진/ 2. 리미트 작동시 0%위치 설정. 그리고./3. 입력받은 시리얼 혹은 버튼으로 작동되는 순서를 갖고있다.
각의 순서를 mode=0,1,2를 지정하여 최대한 머리를 안쓰고 코드를 활용했다.

##구동구성.

기본적인 모터의 스테핑 수와 미니멈을 설정하여 오작동을 막았으며 리미트 스위치는 1개를 사용하였다.

##아두이노 입력/출력기준

아두이노 코드에서 리미트는 2번핀. / 버튼은 3,4,5/ tmc 2208드라이버에서 입력하기 위한 스테핑과 디렉션은 11/12 핀을 사용한다.

그리고 뇌파의 연결하기 위한 코드로는
아래와 같다.

if(Serial.available()){
long value1 = Serial.parseInt();            
long value2 = Serial.parseInt();

Serial.print("value 1 : ");
Serial.print(value1);
Serial.print(" & countstep : ");
Serial.print(countstep);
Serial.print(" & commandstep : ");
Serial.println(commandstep);
int x = commandstep_by_x * value1 ; 
delay(10);
commandstep = x + 100 ;
delay(10);
mode = 3;
}

위 구성을 보면 알겠지만. + 100은 스텝을 100 올리기 위함인데,
실제 모형의 리미트 스위치는 더 안쪽에 위치해있고, 이를 노가다고 납땜&글루건 질을 하다가 빡처서 대충 넣은 코드다. 즉 리미트 보다 +100더 전진이동하여 정지하게 만든 코드며. 최초의 리미트를 확인후 무조건+100스탭으로 이동한다,
단순하게 모형의 단차를 잡기위한 귀찮음이 만들어진거다.

디지털 치매 중증인 관계로 코드를 첨부해둔다.

Author: JSM

One thought on “뇌파장비(시리얼통신)+스마트쉘터 미니어처 모델 구동.

chestnutboy에 답글 남기기 답글 취소하기

이메일 주소를 발행하지 않을 것입니다. 필수 항목은 *(으)로 표시합니다